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5

[클래식 음악가1]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1. 음악의 아버지 바흐가 음악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이유는 오늘날의 음악이 그에 의해서 태어났기 때문이며, 바흐로부터 흘러나온 아름다운 선율의 샘에 의해 바흐 이후의 음악이 배양되었기 때문입니다. 모차르트의 아름다움, 베토벤의 강함, 슈베르트의 즐거움, 그리고 잇달아 나타난 많은 악성들이 만들어 낸 음악의 정화(精華), 그 모두가 바흐라는 예술의 최고명을 원천으로 해서 흐르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지요. 2. 바흐의 생애 바흐의 생가는 독일 튀링겐에서 200년 가까이 살아온 구가(舊家)이며, 대대로 순수한 튜튼족의 풍습을 존중하고 신앙이 두터운 일가였습니다. 음악적 혈통을 이어받아 사교 모임에서 가족들이 음악회를 여는 등 조상 대대로 음악에 대한 정진이야말로 후에 요한 세바스티안을 낳게 되는 토양이.. 2024. 1. 20.
[클래식] 첼로(Cello)의 풀네임(Full-name) 아시나요? 아름다운 저음으로 많은 사람들의 로망이 된 첼로(Cello), 요즘에는 드라마나 영화의 감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많은 첼로 연주곡이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유럽에서 발생한 클래식 저음찰 현악기인 첼로는 비올론첼로(Violoncello)의 약칭으로 바이올린·비올라·콘트라베이스와 함께 바이올린족으로 분류됩니다 힘차고 영상적이며 음량도 풍부해서 합주에서 저음역(底域)대를 담당하며 실내악이나 오케스트라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첼로는 바이올린만큼의 풍부한 곡목수는 없으나 독주악기로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모양이나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바이올린과 같으나 길이는 약 2배 가량 되죠. 첼로 연주자는 의자에 앉아서 악기를 바닥에 세우고 연주하기 때문에 통으로부터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엔드핀을 끌어내서 악.. 2024.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