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예술29

[클래식-음악가22] 요한 스트라우스 - 왈츠의 아버지 1. Strauss II, Johann, 1825-1899 를 작곡한 오스트리아 작곡가 요한 스트라우스는 그의 아버지와 이름이 같은데, 그의 아버지인 요한 스트라우스 역시 ‘왈츠(waltz)의 아버지’라고 불린 뛰어난 음악가였습니다. 그런데 그 당시 음악가는 그다지 큰돈을 버는 직업이 아니었기 때문에 아버지 요한 스트라우스는 아들이 먹고살기 어려운 음악가보다는 돈을 많이 버는 은행가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하지만 아들 요한 스트라우스는 아버지 몰래 피아노를 배우는 등 음악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았고 아들 요한 스트라우스의 열정을 본 어머니의 도움으로 음악 공부를 계속할 수 있었고, 19세에는 자신의 악단을 만들어 정식 연주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5년 뒤에 아버지 요한 스트라우스가 병으로 죽자, 아들은 .. 2024. 2. 17.
[클래식-음악가21] 무소르그스키 - 어린아이처럼 1. 모데스트 페트로비치 무소르그스키(Modest Petrovich Mussorgsky, 1839-1881,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남쪽 400km에 위치한 러시아 제국 프스코프 주의 카레보에서 제법 큰 토지를 소유했던 귀족의 아들로 태어난 무소르그스키는 부유하지는 않았지만 귀족의 딸로 숙련된 피아니스트였던 어머니 치리코바에게 6살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어머니의 헌신적인 가르침과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무소르그스키는 3년 후에는 가족 콘서트에서 존 필드의 협주곡과 프란츠 리스트의 작품을 연주할 정도로 재능을 드러냈습니다. 13세였던 1852년 근위사관학교에 입학하여 7년 후인 1859년 20세의 나이로 임관되자 곧 예비역에 편입되었습니다. 생도 시절부터 피아노 즉흥 연주에 뛰어났었던 그는 .. 2024. 2. 16.
[클래식-음악가19] 베를리오즈 - 관현악의 이단아 1. 루이 엑토르 베를리오즈 (Louis Hector Berlioz, 1803-1869, 프랑스) 1803년 12월 11일 프랑스 리옹 교외의 라 코트 생탕드레에서 태어난 베를리오즈는 어릴 때부터 예민하고 열정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었고, 천성적으로 음악과 문학에 강하게 끌렸지만 주변에 제대로 된 음악교육기관이 없는 시골 마을에서 자란데다 피아노도 없었기에 피아노를 배울 기회도 없었습니다. 피아노 대신 플루트와 기타 연주를 배우고 12세 때 플루트와 클라리넷을 연주하고, 작곡공부도 독학으로 시작했습니다. (요즘 한국에서의 열광적인 의대 쏠림 현상 분위기와 마찬가지로) 의사였던 베를리오즈의 아버지는 장남인 베를리오즈를 자신처럼 의사가 되어 가업을 이어나가기를 바랐고, 17세가 된 베를리오즈는 아버지의 바람대.. 2024. 2. 14.
[클래식-음악가18] 드보르작 - 신세계로부터 1. 안토닌 드보르작(Antonin Dvorak, 1841년~1904년, 체코) 1841년 9월 8일, 지금의 프라하인 보헤미아프라하의 외딴 시골 넬라호제베스에서 여관 겸 푸줏간 집안의 아들로 태어난 드보르작은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싹튼 음악적 재능과 적극적인 태도를 지내게 됩니다. 그의 아버지는 아들의 이런 음악적 재능을 알아보고 국민학교 교사에게 바이올린과 성악의 기초 교육을 받게 하였고, 16세였던 1857년부터는 프라하로 나가 오르간 학교에 입학하여 2년 간 음악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해 주었습니다. 그는 졸업 후 레스토랑·호텔 등에서 비올라를 켜며 생계를 유지하다가 1862년 프라하에 가설극장(훗날의 국민극장)이 신설되자 그곳의 비올라 연주자가 됩니다. 드보르작은 1866년 가설극장.. 2024. 2. 13.
[클래식-음악가16] 쇼스타코비치 - 왈츠 한 번 추실까요? 1. 쇼스타코비치 (Dmitry Dmitriyevich, 1906~1975) 1906년 러시아 페테르부르크(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난 쇼스타코비치는 9살 되던 해부터 어머니 소피아 바실리에프나로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는데, 남다른 재능 덕분에 또래 아이들보다 월등한 피아노 실력을 갖게 된 그는 피아노와 함께 작곡도 배웠는데, 작곡 부문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게 됩니다. 쇼스타코비치의 어릴 때 기억은 거의 육성 회고록에 잘 나타나있다. "우리 가정은 제1차 세계대전, 2월 혁명, 10월 혁명과 연이어 터지는 사회적 사건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이 연대에 썼던 내 작품에서 이미 무언가 실생활을 담아내고 싶어 하는 마음이 드러나는 것은 그다지 놀랄 일도 아니다. 이러한 ‘실생활을 담고 싶다’는 어.. 2024. 2. 8.
반응형